본문 바로가기
NONE:넌 어디서?/같이, 운영기획단

[이강호] 권한과 역할을 이야기할 수 있는 장

2022. 12. 19.

1.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극단 신세계 소속이며, 배우로 활동하고 있어요.
 대학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하고 있었는데 그 분야에서는 제가 하고 싶은 것을 찾지 못했어요. 내가 무얼 하면 열심히 할 수 있을까 고민하던 차에 시민 연극을 한 차례 참여하게 되었고, 거기서 길을 찾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학교를 그만두고 다시 연기과에 입학했어요. 


2. <NONE:넌> 운영기획단은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서교예술실험센터 거버넌스의 임기가 종료된 후, 청년예술청 거버넌스에 합류하게 되었어요. 청년예술청의 첫 느낌은 ‘열려있다!’ 였어요. 하고 싶은 말을 꺼낼 수 있고, 다양한 활동을 마음껏 해볼 수 있는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었어요.

 

<NONE:넌>을 통해서는 성평등, 탈위계라는 
주제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만나보고 싶었어요. 

그래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운영기획단을 하게 되었어요. 특히 예술노동은 계속해서 관심을 두고 있는 부분이라서 이번 ARTOWORK 팀의 작업 과정을 지켜보며 제가 알던 예술노동의 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또 제가 멘토로 참여한 탈 위계 팀은 제가 상상할 수 있는 개념을 넘어선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해주셨어요. 준비 과정 역시 섬세했을 뿐 아니라 실제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호평도 있었고요.


3. 2022년 플랫폼 성격으로 시도한 <NONE:넌>은 어땠나요?
이번에는 참여자들과 소통할 일이 더 많았어요. 개개인이 역량을 꺼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역할이 필요했으니까요. 개인적으로는 참여자들의 ‘참여자들’을 직접 만나볼 수 있었던 것이 가장 좋았어요.


4. <NONE:넌> 과정에서 갈등이나 어려움이 있었나요?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사업 시작 전에는 적은 예산이 문제가 될 줄 알았는데 꼭 그렇지만도 않았어요. 각 팀에서 합리적인 제안을 하고 토론을 통해 적정하게 예산이 분배되었어요. 이후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참여자분들이 이런저런 문의 사항이 있었는데, 이에 대한 소통 채널을 거버넌스 쪽에서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해 혼선을 겪었던 것으로 기억해요. 각 팀에 배정된 운영기획단에게 문의가 들어오면, 운영기획단에서는 행정적 검토가 필요하여 바로 답변드리기가 어려웠어요. 만약 참여자들이 바로 재단 담당자와 소통한다면 업무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운영기획단은 프로젝트의 흐름을 파악하기 힘들어지고요. 하지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은 아직 찾지 못했어요. 최대한 참여자들의 불편을 덜 수 있는 방식을 계속해서 고민해보려고 해요.


5. 성평등/탈위계 문화가 우리 사회에 어떻게 자리 잡혔으면 하나요?
직관적으로 말하면 문화예술계 내에서 부조리가 없어지는 상상을 해봐요. 현실은 그렇지 못하니까요. 또 성평등, 탈위계 문화조성 사업에 청년 예술인 뿐 아니라 기성 예술인들도 참여해서 같이 대화하는 자리가 만들어졌으면 해요. 기성 예술인들이 성평등이나 탈위계에 감수성이 부족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소통이 부족하니까 서로가 선입견이 생기고 오해가 생긴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우리 사회에서 위치가 가진 권한이 권력으로 변하지않기를 바래요. 그렇다고 스스로 위계적인 사람이 될까봐 위축되지는 않았으면 좋겠고요. 그러기 위해서는 권한과 역할 그리고 권력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야 하겠지요. 

댓글